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Kotlin
- Excel
- Java
- vue-cli
- BEAN
- js
- VUE
- Repository
- thymeleaf
- dependency injection
- Stateless
- cache
- javascript
- JPA
- Security
- 로그인
- di
- HTTP 메서드
- Spring
- HTTP
- DB
- 싱글톤
- Setter
- vuex
- 캐시
- Vue.js
- 의존성 주입
- 프로토타입
- 라이프 사이클
- Singleton
- Today
- Total
목록applicationcontext (2)
jhhan의 블로그

저번 포스트까지는 스프링 빈을 조회하는 것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이번에는 개념적인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. ApplicationContext를 지금까지 자주 써왔는데 이것보다 더 근본적인 녀석이 있습니다. 바로 BeanFactory입니다. 상속 관계입니다. BeanFactory는 인터페이스입니다. BeanFactory를 상속하는 ApplicationContext가 있습니다. 역시 인터페이스입니다. 그리고 나중에 ApplicationContext를 구현하는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가 등장합니다. 이런 상속관계를 가집니다. 그럼 BeanFactory에 대해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.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 스프링 빈 - 관리 & 조회 가능 ex) g..

3편에 이어서 쓰려고 합니다. 이번 포스트는 자바만을 활용하는 마지막 편입니다. 여기서 이제 스프링을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한 후 다음부터는 스프링 게시판으로 옮겨서 적겠습니다. 먼저 AppConfig 클래스부터 살펴보겠습니다. AppConfig에 스프링 어노테이션을 붙이겠습니다. @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{ @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() {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 } @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() { // return new FixDiscountPolicy(); return new RateDiscountPo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