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싱글톤
- Vue.js
- 로그인
- Excel
- 의존성 주입
- vue-cli
- Repository
- Spring
- HTTP 메서드
- thymeleaf
- BEAN
- Java
- HTTP
- cache
- Stateless
- javascript
- di
- JPA
- Singleton
- Kotlin
- 캐시
- DB
- dependency injection
- Security
- js
- VUE
- 라이프 사이클
- 프로토타입
- vuex
- Setter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130)
jhhan의 블로그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99Vr0/btsC6AiG8U2/DpQTJQa3gY3gcHtki9eqq1/img.png)
이번 포스트에서는 getter 와 sette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아래의 글과 연관이 될 것 같은 포스트여서 링크를 남겨두겠습니다. https://jhhan009.tistory.com/123#comment11331584 extends & super 이번 포스트에서는 extends 와 sup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https://jhhan009.tistory.com/122 Constructor & Prototype 이번 포스트에서는 Constructo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개발언어로 javascript를 처음 써본 사 jhhan009.tistory.com 1. getter & setter getter와 setter 역시 다른 언어를 배우고 왔다면 쉽게 아는 개념입니다. getter : 데이터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BoVj/btsC7qGTa8X/cjEdO8MOcNJvD5NlvEJfAK/img.png)
이번 포스트에서는 extends 와 sup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https://jhhan009.tistory.com/122 Constructor & Prototype 이번 포스트에서는 Constructo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개발언어로 javascript를 처음 써본 사람은 모를 수도 있지만, 다른 언어를 쓰다가 javascript를 배운 사람이라면 Constructor가 무엇인지 잘 알 것 jhhan009.tistory.com 위의 링크와 연관되는 내용이 있으니 필요한 부분은 참고하면 될 것 같습니다. 저번 포스트에서 Constructor에 대해서 알아봤는데, class에 대한 언급을 안 한 것 같습니다. 그렇다고 class에 대해 쓰기에는 너무 길어질 것 같고, 다른 블로그에 정리가 잘 되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Ictla/btsCX5cQCr2/5xORImTIKL4H4gxeFtkBr1/img.png)
이번 포스트에서는 Constructo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개발언어로 javascript를 처음 써본 사람은 모를 수도 있지만, 다른 언어를 쓰다가 javascript를 배운 사람이라면 Constructor가 무엇인지 잘 알 것입니다. → 바로 '생성자' 입니다. 이 Constructor(생성자) 개념이 javascript에도 존재합니다.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. 1. Constructor 먼저 다음의 코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. let student1 = { name : 'Kim' , age : 15 }; let student2 = { name : 'Park', age : 13 }; 예시처럼 학생 변수를 만들 수 있지만.. 몇 십개, 몇 백개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왔을 때도 저런 식으로 코드를 작성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e1Si/btsy8uTI5Em/EzYhmmtrFeOnhN4qc3pEw1/img.png)
이번 글에서는 Spread Operato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아마 spread operator라는 단어를 모를 수도 있습니다. 하지만 js 코드를 보다보면 "...list " 라는 형식으로 쓰여진 변수들을 간혹 찾아볼 수 있습니다. 이렇게 ... 이 붙어있는 것을 spread operator 라는 문법으로 불린다고 합니다. 쉽게 설명하면 '괄호제거 연산자'라고 볼 수 있습니다. 예시를 한번 보시죠 let arr = ['a', 'b', 'c']; console.log(arr); console.log(...arr); js 코드를 위와 같이 작성한 후 실행을 한다면 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 console.log(arr); : 배열 형태로 출력합니다. console.log(...arr); : []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7Iva/btsyTZs2Th2/kXCcUg6r0N3CnJfQ1nZFdK/img.png)
이번 글에서는 javascript에서 문자열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사실 js에서 문자열을 다루는 방법은 이미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. 큰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를 이용해서 문자열을 사용하면 됩니다. 사실 이것만 알고 있어도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. 하지만, 이번 글에서 다루게 될 것을 배운다면 js에서 문자열을 조금 더 쉽게 다룰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 1. template literals ( backquote, backtick ) 바로 `` 를 이용하는 것입니다. 작은 따옴표와 비슷한 이것(`)은 backquote & backtick이라고 부릅니다. 이것을 썼을 때 장점을 알아봅시다. 1-1. Enter 가능 문자열 내에서 Enter 키를 처도 인식한다는 것입니다. ''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jGJ0/btsyD8rgcgj/lyuHgxkwviPli8cTv0ReUk/img.png)
javascript의 this에 대해 알아보는 2번째 글입니다. (1)의 내용에 이어서 글을 작성하겠습니다. 1번째 글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https://jhhan009.tistory.com/118 3. constructor 안에서 쓰는 this constructor가 생성자라는 것은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 js도 constructor를 만들어서 코딩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 아래의 코드를 작성해봅니다. function Person() 을 보면 기존에 봐왔던 constructor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this는 function Person() 안에서 쓰이고 있습니다. 여기서 this는 새로 생성되는 오브젝트(인스턴스)를 뜻합니다. 그리고 ps 라는 변수를 선언해서 Person 객체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b9PPD/btsyERIecfE/8TQJSUHUKLUvrM1UWyr1M1/img.png)
매우 오랜만에 쓰는 블로그 글입니다.(어색하네요) 이번에는 this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는지 써보려고 합니다. 다른 언어에서는 this가 정해진 형태로 쓰이지만 ( ex. java 등 ) javascript에서는 this가 1가지 의미로만 쓰이지 않고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쓰입니다. 그렇기 때문에 javascript의 this에 대해서 정확하게 아는 것이 매우 힘들 수 있습니다. 그리고 this에 대해 정의하기도 매우 어려울 수도 있죠. 저는 이번 글에서는 this의 정의가 아닌 this가 어떤 식으로 쓰여지는지 정리하려고 합니다. (this에 대해 좀 더 깊은 분석이 필요하다면 아마 이 글은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) this가 어떤 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려는 분들에게는 도움이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kTq89/btr0jhGXBAp/TlnM2ECXaWWxrAj0S7ve30/img.png)
이번 시간에는 vuex에서 mutation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지난번 포스트에서는 state에 대해 알아봤는데요. (store.js 사용) state는 상태관리를 하는 항목이 들어가는 곳입니다. 그러면 state에 데이터를 넣어주면 어느 vue파일에서든지 끌어와서 쓸 수 있게 됩니다. 그리고, state에 넣어준 데이터가 변경이 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. 그런데 각각의 vue 파일에서 state 값을 변경하면 어떻게 될까요? 코딩하는 당시에는 편할 수 있겠지만, 나중에 오류가 생겼을 때 해당 vue 파일로 가서 고쳐야 합니다. 이게 큰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 도 있지만, vue 파일이 100개가 있다고 생각해봅시다. 그리고 100개의 파일에서 모두 state 값을 변경했다고 했고 오류가..